안녕하세요. 오늘은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대하여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관적인 평점과 추천 정도는 가장 아래에 작성을 해두었으니
참고하시어 즐거운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ART 1. 영화 기본 정보
제목: 더 퍼스트 슬램덩크 (THE FIRST SLAM DUNK)
감독: 이노우에 다케히코
원작: 『슬램덩크』 (이노우에 다케히코)
장르: 애니메이션, 스포츠, 드라마
상영시간: 124분
관람등급: 전체 관람가
개봉일: 2023년 1월 4일 (한국 기준)
제작국가: 일본
제작/배급: 도에이 애니메이션 / NEW
PART 2. 주요 등장인물 정리
송태섭 (미야모토 슌 분 / 원작 이름: 미야기 료타)
– 본 영화의 서사를 이끄는 주인공. 키는 작지만 빠른 스피드를 자랑하는 가드.
이번 극장판에서는 그의 가족사와 내면이 깊이 있게 조명된다.
강백호 (쿠소 유우타 분)
– 원작의 중심 캐릭터로, 좌충우돌 하지만 성장이 두드러지는 포워드.
투지 넘치는 플레이로 팀 분위기를 끌어올린다.
정대만 (모리야마 요헤이 분)
– 3점 슈팅에 강한 슈터.
예전엔 반항아였지만 팀과의 유대감 속에서 진짜 농구를 찾아간다.
채치수 (이와쿠라 고키 분)
– 북산 고교의 주장.
팀을 이끌며 책임감 있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센터.
서태웅 (코바야시 신 분)
– 완벽주의적이며 냉정한 성격의 에이스.
슬램덩크 특유의 '무결점 캐릭터'로 상징적 인물이다.
PART 3. 줄거리 요약
북산 고교 농구부는 전국대회에 진출해 강호 산왕공고와 맞붙는다.
경기는 이미 무너질 듯한 흐름 속에서 시작되지만,
북산은 점점 집중력을 끌어올리며 반격의 기회를 만들어낸다.
이번 극장판에서는 원작의 인기 경기 ‘산왕전’을 중심으로,
송태섭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의 형과의 관계, 가족의 아픔, 그리고 농구에 모든 것을 건 이유가
과거 회상과 함께 진하게 펼쳐진다.
농구라는 스포츠의 역동성과 팀워크,
그리고 개개인의 내면적인 상처와 성장을 통해
'함께 뛴다는 것', '도전한다는 것'의 의미를
감동적으로 풀어낸다.
PART 4. 평점 및 전문가 평가
■ 주요 평점 (2025년 4월 기준)
- IMDb: 8.1 / 10
- Rotten Tomatoes: 96% → 9.6 / 10
- Metacritic: 84 / 100 → 8.4 / 10
- 네이버 영화: 9.47 / 10
- 왓챠피디아: 4.3 / 5.0 → 8.6 / 10
■ 평균 환산 점수: 8.82 / 10
■ 전문가 평가
- “운동화 소리 하나에도 감정이 실린 작품” – 씨네21
- “단순한 추억팔이를 넘어, 인생 영화가 되다” – 조선일보
- “이노우에 다케히코, 진짜 이야기를 꺼내놓다” – 일본 아사히신문
■ 장점
- 원작 팬+신규 관객 모두 만족시킨 스토리텔링
- 경기 장면의 속도감과 현장감
- 송태섭 캐릭터 중심 구성의 감정 몰입도
■ 단점
- 원작을 모르면 일부 인물 관계 설명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음
- 후반 감정선이 개인적 서사로 쏠려 호불호 가능
ART 5. 딱정오빠의 평점 및 감상
🧾 딱정오빠 평점: 8.8 / 10
+ 송태섭의 서사 중심 재구성이 인상 깊음
+ 작화와 음향이 경기의 몰입도를 극대화
– 원작을 모르면 중간 설명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음
– 후반부 감정선이 일부 관객에겐 다소 무거울 수 있음
🎥 딱정오빠의 감상
이건 그냥 ‘추억’이라는 말로는 다 설명이 안 된다.
처음 볼 땐 “강백호 무대겠지?” 했는데,
영화는 **조용한 주인공 송태섭**을 통해
진짜 이야기를 보여준다.
형의 죽음을 품고, 가족의 부채감을 안고,
코트 위에서 살아가는 한 아이의 성장기.
농구는 그냥 수단일 뿐이고,
**살아 있다는 걸 증명하기 위한 모든 움직임**이 담겨 있었다.
그리고 경기 장면, 진짜 실황보다 더 실황 같음.
음향 설계, 패스 소리, 땀의 질감까지…
감정선 폭발할 때는 농구 장면이 슬로모션이 아니라 심장으로 들어옴.
정대만 3점 넣을 때 나 진짜 주먹 꽉 쥐었고
송태섭 마지막 드리블엔 눈물 났다.
📌 한줄평
“슬램덩크는 농구 이야기지만,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살아남은 이들의 이야기**다.”
댓글